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127

배출권거래제 상쇄제도 배출권거래제 상쇄제도 개요 1 법적 근거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(이하 ‘법’) 및 동법 시행령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 및 감축량 인증에 관한 지침(이하 ‘지침) 2 주요 내용 목적 :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무 이행을 위한 수단으로 상쇄제도 도입 개념 : 외부사업자가 할당대상업체 조직경계 외부의 감축사업(외부사업)으로 발행받은 인증실적 (KOC)을 할당대상업체 등에게 판매하고, 할당대상업체가 보유·구매한 인증실적(KOC)을 상쇄배출권(KCU)으로 전환하여 배출권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외부사업 개요 정의 :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, 흡수 또는 제거하는 사업 유형 : 일반외부사업 및 CDM* 사업으로 구분 * CDM : Clea.. 2022. 9. 20.
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 사업 1 지원사업 개요 ‌ 사업의 목적 :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의 실질적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하여 감축설비 도입에 대한 재정지원 ‌ 법적 근거 ① 배출권거래법 제35조(금융상·세제상의 지원) ② 배출권거래법 시행령 제53조(금융상·세재상의 지원) ③ 「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탄소중립 설비 지원사업 운영지침 2 지원사업 세부내용 (2022년 사업공고 기준) 신청기간 : 2022.1.7.~7.29. 신청방법 : “e나라도움(www.gosims.go.kr)”을 통한 신청서 제출 사업예산 : 2022년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총 979억 원 ● ①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 : 879억원(지자체대상 75억 원 포함) ※ 할당대상업체 상생 프로그램 100억 원 포함 ● ② 저탄소 청정연료전환 사업 : 100억원.. 2022. 9. 20.
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국가 배출권 할당 「국가 배출권 할당계획」 개요 1. 계획의 목적 및 기본원칙 □ (명칭) 「제3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(이하 “할당계획”)」 □ (의의․목적) 「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(이하 “국가목표”)*」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제 3차 계획기간의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 등에 대한 종합적 기준제시* ’ 30년 온실가스총배출량을 ’ 17년 총배출량의 24.4%만큼 감축(「저탄소 녹색성장 기본 법 시행령」 제25조) □ (근거) 「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(이하 “법”)」제5조 및 같은 법 시행령(이하 “시행령”) 제3조 □ (기간) 제3 계획기간 2021.1.1.부터 2025.12.31.까지 □ (수립주체) 환경부 장관(시행령 제3조 제1항) □ 기본원칙(법 제3조) ㅇ 기후변화 관련 국제협약의 원칙.. 2022. 9. 19.
산업 및 사업모형에 관계없이 기업이 공시해야 하는, 다음 산업전반 지표 범주 □ (산업전반 지표) 산업 및 사업모형에 관계없이 기업이 공시해야 하는, 다음 산업전반 지표 범주(category)와 관련된 정보 ㅇ 일곱 가지 산업전반 지표 범주 지표명 설명 1 온실가스 배출량 (greenhouse gas emissions) (i) 온실가스 프로토콜에 따른 Scope 1, 2, 3의 배출 총량(절대치)(CO2-e(t)) (ii) Scope 1, 2, 3 별 배출량 집약도(intensity) (iii) 연결기업과 관계기업, 조인트 벤처 등에 대해 (i)에서 공시한 각각의 Scope 1 및 2 배출 총량 (iv) 관계기업, 조인트 벤처, 비연결대상 종속기업 또는 계열사(affiliates)의 배출량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한 접근법 (v) (iv)의 접근법을 선택한 이유와 해당 이유가 지표 .. 2022. 9. 19.
배출량 산정 계획서 작성방법 작성 시 검토 사항 작 성 순 서 작 성 방 법 1. 조직경계 결정 [별표4] 조직경계 결정방법 2. 배출활동 및 배출시설 파악 - 기존, 신·증설, 폐쇄 시설 - 조직경계 제외 시설 - 조직경계 내·외부 온실가스 판매, 구매 3. 배출시설별 모니터링 방법 [별표6]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4. 배출시설별 모니터링 대상 및 측정지점 결정 [별표8]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 5.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[별표8]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 6.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 등급 적용 계획 [별표5] 배출활동별, 시설규모별 산정등급(Tier) 최소적용기준 7. 품질관리/품질보증 활동 계획 [별표19] 품질관리(QC) 및 품질보증(QA) 활동 조직경계 조직경계 결정 원칙  조직의 지배적.. 2022. 9. 19.
배출량 산정 계획서 개요 및 일반사항 1. 배출량 산정 계획서 개요 정 의 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에 필요한 자료와 기타 온실가스·에너지 관련 자료의 연속적 또는 주기적인 수집·감시·측정· 평가 및 매개변수 결정에 관한 세부적인 방법, 절차, 일정 등을 규정한 계획 중요성 및 목적  활동자료 및 매개변수 측정·수집 방법의 결정 문서  배출량 산정, 인증, 할당, 검증 시 기준 문서  배출량 예측 자료로 활용 가능  배출권 할당량 조정과 추가 할당 결정에 직접적 영향 할당대상 업체는 배출량 산정 계획을 기반으로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관련 근거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  제21조(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계획서의 제출 및 검증) ① 할당대상업체는 법 제13조 2항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계.. 2022. 9. 18.
반응형